3.세기의 위인 김일성 2.뺑대거리 국수집에서. 1.김일성 주석과 한 일본인 > 세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세계뉴스

독일,유럽뉴스 | 3.세기의 위인 김일성 2.뺑대거리 국수집에서. 1.김일성 주석과 한 일본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4-11 22:00 댓글0건

본문

3.세기의 위인 김일성

인류사는 수많은 위인들을 기록하고있다.

그러나 사회주의조선의 김일성 주석(1912-1994)과 같이 세기를 이어가며 수많은 사람들의 칭송과 흠모를 받고계시는 그러한 위인은 일찌기 없었다.

김일성, 그이는 주체사상을 창시하시여 인류가 나아갈 앞길을 밝혀주신 자주시대의 개척자, 선도자이시였다.

10대 소년기에 일제의 군사적강점(1905-1945)으로부터 조선의 자유와 해방을 위한 투쟁의 길에 나서신 그이께서는 혁명활동의 첫시기에 주체사상의 진리를 탐구하시였다. 혁명과 건설의 주인은 인민대중이며 혁명과 건설을 추동하는 힘도 인민대중에게 있다는, 다시 말하여 자기 운명의 주인은 자기자신이며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힘도 자기자신에게 있다는 주체사상의 창시는 지난날 제국주의의 침략과 략탈, 지배와 예속밑에 수난의 대상으로만 되여오던 전세계 피압박근로대중에게 운명개척의 진로를 밝혀준 력사적사변이였다.

조선혁명의 주인은 조선의 혁명가들이며 그 누구도 조선의 독립을 선사해줄수 없다는, 자기 민족의 힘에 의거하여서만 독립을 이룩할수 있다는 신념을 지니시고 그이께서는 일제의 100만대군을 상대로 항일대전을 벌리시여 마침내 조선해방의 력사적위업을 성취(1945.8.15.)하시였다.

해방후 그이께서는 투철한 자주의 원칙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어느 다른 나라식도 아닌 조선의 실정과 조선인민의 리익에 맞는 건국로선을 제시하시고 인민이 모든것의 주인이 되고 모든것이 인민을 위하여 복무하는 참다운 인민의 나라를 일떠세우시였다. 주체사상의 무한대한 위력으로 세계《최강》이라는 미국을 위시한 16개국 무력침공자들을 물리치기 위한 조국해방전쟁(1950-1953년의 조선전쟁)에서 위대한 승리를 이룩하시였다. 미국이 조선은 100년이 걸려도 일떠서지 못할것이라고 하던 전후의 페허우에서 자주, 자립, 자위의 사회주의강국을 일떠세우시였다.

조선의 현실과 더불어 그 진리성과 과학성, 정당성과 생활력이 확증된 주체사상은 광범한 국제사회의 주목을 끌었으며 세계 5대륙에 급속히 전파되였다.

주체사상에 의하여 인류는 수천년세월의 암흑을 깨뜨리고 자주의 새 시대를 맞이하게 되였으며 력사무대에는 세계자주화의 도도한 흐름이 펼쳐지게 되였다.

김일성, 그이는 한평생 반제자주의 기치를 높이 드시고 인류자주위업을 주도하신 세계정치의 걸출한 원로이시였다.

격변하는 세계정치의 동란속에서 그이께서는 추호도 흔들림없이 자주의 방향타를 굳건히 틀어쥐시고 세계반제자주위업을 승리에로 이끄시였다.

크레물리성벽에서 70년간 휘날리던 사회주의기발이 내리워지고 여러 나라들에서 사회주의가 좌절과 풍파를 겪고있을 때에 그이께서는 조선이 사회주의기치를 의연히 높이 들고나가게 하시면서 진보적인류가 자주의 길로 드팀없이 나아가도록 고무해주시였다.

그이의 한생은 참다운 국제주의자의 한생이였다.

그이께서는 항일대전의 나날 조선혁명가들이 중국혁명을 피로써 돕고 쏘련을 무장으로 옹호하도록 하시였으며 1960년대 까리브해위기때 꾸바혁명수호를 위한 국제적지원의 맨 앞장에 서시고 《바크보만사건》때 윁남인민의 반미항전을 가장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시였다. 1970년대 제국주의자들의 분렬와해책동으로 하여 쁠럭불가담운동이 위기에 처하였을때 그이께서는 당시 유고슬라비아대통령이였던 찌또를 만나주시고 쁠럭불가담운동의 강화발전과 전진의 근본원칙과 방도를 밝혀주시였다. 력사발전의 매 시기마다 세계반제자주위업의 승리를 위한 전략을 펼쳐주시고 복잡다단한 정세하에서도 인류자주위업이 자기의 궤도를 따라 드팀없이 나아가도록 하시였다.

중국의 모택동은 생애의 마지막시기 세계혁명을 돌보실분은 김일성동지밖에 없다고, 주석께서 앞으로도 세계혁명과 국제공산주의운동을 계속 령도하여주실것을 진심으로 당부하였다. 꾸바의 피델 까스뜨로는 김일성동지는 세계의 많은 지도자들중에서 가장 로련하고 권위있는분이라고 말하였다.

김일성, 그이는 숭고한 인간애와 덕망으로 천하를 감동시키신 희세의 성인이시였다.

그이의 한없이 숭고한 풍모와 뜨거운 인간애는 인간에 대한 가장 신성한 견해와 사랑으로부터 출발한것이였다. 그이의 회고록은 인간사랑의 성서와도 같다. 그이께서는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자신께서 신처럼 숭상하는 대상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인민이다, 자신의 하느님은 다름아닌 인민이며 세상에 인민대중처럼 전지전능하고 위력한 존재는 없다, 그래서 자신께서는 이민위천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고있다고 피력하시였다.

조선을 다녀본 미국의 종교지도자 빌리 그라함목사는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조선에 가서 전도할 필요를 전혀 느끼지 않았다. 성서는 모두 인간을 사랑하라는 하느님의 뜻을 담고있다. 그런데 그 나라에서는 인간사랑이 국책으로 실시되고있다. 무상치료, 무료교육, 의식주에 대한 국가적책임, 이것이 인민을 하늘같이 여기는 주석이 내놓으시고 실시하는 국책이다. 조선인민은 그분을 하느님처럼 떠받들고있다. 이러한 나라에 성경책이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

김일성주석의 뜨거운 인간애와 만사람을 품어주는 무한대한 포옹력은 조선인민에게만 한한것이 아니였다. 민족과 국적, 신앙과 정견을 초월한 전인류적인것이였다. 그이에 의하여 두 다리를 못쓰게 될번 했던 오스트리아의 이전 수상 크라이스키가 대지를 활보할수 있었으며 전 기네방송국 사장 에밀레 똠빠빠, 인디아의 비슈와나스 등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생사의 기로에서 소생될수 있었다.

조선의 적대국의 정객들도 한없이 고결한 그이의 풍모앞에 머리를 숙이였다. 일본의 부수상이였던 가네마루 싱은 그이를 위하여 생명도 주저없이 바칠것이라고 언명하였다. 미국의 전 대통령 지미 카터는 《김일성주석은 미국의 건국과 운명을 대표했던 죠지 워싱톤, 토마스 제퍼슨, 아브라함 링컨 3대대통령을 다 합친것보다 더 위대한분이시다.》라고 말하였다.

김일성주석은 인류의 심장속에 영생하고계신다.

관련기사

[특집 2] 일화 뺑대거리 국수집

[특집 1] 일화 김일성 주석과 한 일본인

Kim Il Sung: A Great Man of the 20th Century

Many great men had been recorded in human history.

However, it had never witnessed such a great man like Kim Il Sung (1912-1994), who enjoyed admiration and respect by a great number of people from one century into the next.

Kim Il Sung, eternal Presid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ho authored the Juche idea that illumines the way ahead of mankind, was a pioneer and the leader of the era of independence. Having embarked on the road of the struggle for the freedom and liberation of his country from the Japanese military occupation (1905-1945) in his teens, he clarified the truth of the Juche idea in the early days of his revolutionary struggle. The Juche idea means, in a nutshell, that the masters of the revolution and construction are the masses of the people and that they are the motive force of the revolution and construc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master of one’s destiny is oneself and one has the strength with which to carve out one’s destiny. It constituted a historic event which indicated the road for carving out the destiny of the working people of the whole world, who were subjected to imperialist aggression, plunder, domination and subjugation.

With the faith that the masters of Korean revolution were the Korean revolutionaries, and that no one would make them a present of their independence and they can achieve it only by relying on the strength of their own nation, he waged an anti-Japanese war against the Japanese aggressors, one million strong, and finally achieved the historic cause of national liberation (August 15, 1945).

After liberation, based on the thoroughgoing principle of independence, he advanced the line of nation building suited to the reality of the country and the interests of its people. And he established a genuine people’s state in which people are masters of everything and everything serves them. By dint of the unlimited strength of the Juche idea, he defeated armed aggressors of 16 countries led by the US imperialists, who had boasted of being the “strongest” in the world, and achieved a great victory in the Korean war. Even though the US clamoured that the DPRK would not stand on its feet within one hundred years, he had a powerful socialist country, independent in politics, self-supporting in the economy and self-reliant in national defence, established on the ruins of war.

The Juche idea, which proved its truth, scientific accuracy, veracity and vitality in reality,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broad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as spread to all corners of the five continents. Thanks to this idea, mankind could deliver themselves from darkness that had been prevalent for thousands of years and enter the new era of independence, and the cause of global independence was ushered in.

Kim Il Sung was an outstanding world’s veteran statesman, who led the cause of independence of mankind under the unfurled banner of anti-imperialist independence throughout his life. In the rapidly-changing political situation of the world, he tightened his grasp on the helm of this cause without any hesitation and led it to victory. When the flag of socialism that had been flying over Kremlin was pulled down and socialism was experiencing frustration and setback in other countries, Kim Il Sung had his country hold aloft the banner of socialism and encouraged the progressive peoples of the world to advance steadily along the road of independence.

He was a genuine internationalist. In those days of the anti-Japanese war, he had the Korean revolutionaries help the Chinese revolution at the cost of their blood and defend Russia with arms. At the time of the Cuban Missile Crisis in the 1960s, Kim Il Sung stood in the vanguard of supporting the Cuban revolu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And at the time of the Gulf of Tonkin Incident, he supported the Vietnamese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 US. In the 1970s, when the non-aligned movement faced a crisis owing to the imperialist schemes to disintegrate it, he met President Tito of Yugoslavia and told him the main principles and methods for advancing and strengthening the non-aligned movement. In every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history, he formulated strategies for achieving victory for the cause of global independence against imperialism and ensured that the DPRK unswervingly followed its track even in a complicated situation. In the last period of his life, Chairman Mao Zedong said to Kim Il Sung that the latter was the only man who could look after the world revolution, asking him to lead the world revolut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in the future, too. Fidel Castro of Cuba said that Kim Il Sung was the most experienced and prestigious of the heads of state in the world.

Kim Il Sung was a peerless sage whose noble humanity and virtue left an indelible trace in the world.

His noble traits and humanity were born of his noblest view of and affection for man. His memoirs are tantamount to a textbook on humanity. In the memoirs With the Century, Kim Il Sung wrote: I respect the people as if they were God; my God is none other than the people; only the masses are omniscient and omnipotent and almighty on earth; therefore, my lifetime motto is “The people are my God.”

American evangelist, Billy Graham, who had been to Korea, said as follows: In north Korea, I felt no need to preach the gospel. The Bible contains the intention of the God, that all should love human beings. And north Korea pursues love of human beings as a state policy.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free medical service, free education and people’s clothing, food and housingthis is a state policy set and enforced by Kim Il Sung who believes in people as in heaven. The people support him as their God. Why is the Bible needed in this country?

The ennobling humanity and unlimited magnanimity of Kim Il Sung were not limited only to the Korean people but all the world people transcending differences in nationality, citizenship, religious belief and political view. Thanks to the measures taken by him, former chancellor of Austria Bruno Kreisky who had nearly been paraplegic, came to walk on this land and former director of Guinean Broadcasting Station Emile Tompapa, Vishwanath of India and many other people in the world were rescued from the jaws of death.

Even political figures from the countries hostile to the DPRK were deeply moved by his noble personality. Former Deputy Prime Minister of Japan Kanemaru Shin, said that he would unhesitatingly sacrifice his life for the sake of President Kim Il Sung. Former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Jimmy Carter, stated that President Kim Il Sung was greater than George Washington, Thomas Jefferson, and Abraham Lincoln, the most illustrious early US Presidents, all combined.

Kim Il Sung will live for ever in the hearts of mankind.


2. 뺑대거리 국수집에서

해방의 기쁨이 약동하던 1946325일이었다.

이날 토지개혁실시정형을 요해하기 위하여 평안남도 강서군을 현지지도하고 돌아오던 김일성 주석은 뜻밖에도 창덕학교시절의 학우였던 강윤범을 만나게 되었다.

김일성 주석은 그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문득 그가 점심 전이라는 것을 알고 함께 식사나 하자고 하며 《뺑대거리》국수집으로 이끌었다.

때는 점심시간이라 국수집은 많은 손님들로 흥성거리고 있었다.

주석은 강윤범과 함께 노인 한 명이 앉아 있는 식탁에 다가가 허물없이 자리를 잡았다.

주석의 옷차림과 몸가짐이 얼마나 수수하고 소탈하였던지 노인을 비롯한 손님들은 자기들이 나라의 최고지도자와 자리를 같이 하고 있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하였다.

여기저기에서 사람들이 웃고 떠들며 저마다 흥에 겨워 이야기판들을 벌리고 있었는데 화제거리는 거의나 토지개혁에 대한 것이었다.

누구는 옥답 4,000평이나 분여받아가지고 밤새껏 동네방네를 돌아다니며 춤을 추었다는 이야기, 갓 마흔이 넘은 노총각이 땅을 분여받은데다가 장가까지 들어 팔자를 고쳤다는 이야기…

그런데 앞에 앉은 노인은 웬일인지 국수 한 그릇과 소주잔을 받아놓고도 먹을념을 하지 않고 싱글거리며 창밖만 내다보고 있었다. 거기에는 살찐 송아지 한 마리가 매어있었다.

주석은 미소를 짓고 그를 바라보다가 국수그릇을 밀어놓아주며 국수가 풀어지겠는데 어서 들라고 다정히 권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고맙수다. 그까짓 것 풀어지면 뭐랍네까. 이제야 다 우리건데 …라고 스스럼없이 대답하였다.

무사태평한 그의 말에 주석은 그 말씀 참 잘하셨다고 응수해주었다.

그 바람에 흥이 난 그는 묻지도 않는 말을 슬슬 터놓았다.

자기는 이번에 김일성장군님의 은덕으로 3000평의 땅을 분여받았다는 것, 그래서 농사를 본때있게 지어볼 작정이라는 것, 아직은 여유가 없어서 겨우 송아지를 한 마리 샀지만 가을에는 꼭 황소 한 짝을 매놓겠다는 것이었다.

그는 마주 앉아 있는 사람을 보통간부 정도로 알았는지 어렵지 않게 큰 소리를 탕탕 쳤다.

내 기어이 황소를 부리게 될 터이니 두고보시우다. 아무렴 꼭 그렇게 되겠지요. 허 되다 뿐이요. 이제 장군님 주신 땅에서 낟알섬이 쏟아져나올턴데 뭐가 모자라서 황소 한 짝을 매지 못하겠소. 헌데 이거 안됐소만 점잖으신 어르신네 담배 한대 없소이까. 쌈지를 어데 떨궈나서 …

노인의 어처구니가 없는 행동에 아연해진 강윤범이 참지 못하고 한마디 하려는데 주석이 그를 제지하며 담배를 꺼내주고 불까지 붙여주는 것이었다.

허물없이 공손히 대해주는 주석 앞에서 주변좋은 그는 담배연기를 탐스럽게 들이키었다.

주석은 그러는 그를 정겹게 바라보며 어디서 사는가고 물었다.

옷고개너머 동네에서 삽니다. 오늘 새벽에 옷고개를 넘으려니 무슨 생각이 들던고 하니 이젠 이 옷고개도 우리 것이로다 하는 생각이 들더란 말이웨다. 참 저 옷고개를 왜 그렇게 부르는지 아시우?”

주석은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짐짓 모르는 시늉을 하고 그의 말을 호기심을 가지고 들었다.

…옛날 대동군을 비롯한 여러 고을의 양반선비들은 평양으로 올 때 평양성이 보이는 고갯마루에서 입고 온 옷을 벗고 새옷을 갈아입군 하였다. 평양감사가 있는 성 안에 어지러운 옷차림으로 들어올 수 없어서 그랬다는 것인데 그 때문에 고갯마루에는 양반선비들이 벗어놓은 옷이 늘 하얗게 걸려있곤 하였다. 그런 연고로 옷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렇게 옷고개의 유래를 내리엮고나서 그는 흥이 나서 말하였다.

오늘 아침 옷고개를 넘으려니 옷고개도 이젠 우리 것인데 내 두루마기도 좀 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겠소. 그래서 입었던 두루마기를 척 벗어서 걸어놓았지요.”

그 바람에 옆에서 듣고있던 사람들이 웃음을 참지 못해 키득키득하였다.

그러거나 말거나 그는 종발밑창에 조금 남았던 술을 마저 마시고 이야기를 계속하였다.

헌데 한창 고개를 내려오느라니 옛날 양반놈들이야 평양감사가 무서워서 옷을 갈아입었지만 이제야 우리 농사꾼들이 뭐가 무서워서 헌 두루마기라고 벗어놓을고 하는 생각이 들더란 말이웨다. 그래서 부랴부랴 다시 올라가서 두루마기를 도루 입고 내려왔지요.”

주석은 호탕하게 웃으며 강윤범에게 우리가 국수집에 오길 잘했다고, 이런 좋은 이야기를 어데서 듣겠는가고 하였다. 그리고 그 노인에게 참 이야기를 구수하게 잘한다고, 올해농사를 잘 지어 농량도 넉넉히 마련하고 큼직한 황소도 사 매기를 바란다고 정을 담아 말씀하시고 헤여졌다.

이처럼 김일성 주석은 땅을 분여받고 흥에 겨워하는 농민들의 기쁨을 자신의 기쁨으로 여겼으며 언제나 인민들 속에서 인민들과 생사고락을 함께 나누는 분이었다.a



▲일본 《요미우리신붕》 논설위원회 고문 다까기 다께오와


김일성 주석과 한 일본인

김일성 주석(1912-1994)은 생전에 외국의 수많은 인사들과 깊은 연고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들가운데는 조선의 백년숙적인 일본의 한 저명한 언론인도 있었다.

아버지!

 


새해인사를 나누시는 김일성주석 (1971. 12. 31.)

《요미우리신붕》의 논설위원회 고문이었던 다까기 다께오가 조선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을 처음 만난 것은 19711231일 저녁이었다.

이날 그는 주석과 함께 어린이들의 설맞이모임장소인 평양학생소년궁전으로 갔다. 주석이 궁전에 도착하자 《만세!》의 환호성이 울리면서 《아버지!,《아버지!》하고 부르며 저저마다 그이의 품에 안기는 어린이들의 모습에 다까기 다께오는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아이들만이 아니었다. 그들을 가르치는 교원들도 《아버지 원수님!》하고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것이었다.

(! 김일성각하께서는 인민을 열렬히 사랑하시고 인민은 그이를 충심으로 받드는 이 세상 가장 열렬하고 진실한 사랑과 믿음의 관계가 바로 사회주의조선에서만 볼 수 있는 일심단결의 아름다운 화폭이 아닌가.)

마음속으로 이렇게 외치는 그의 입에서는 저도 모르게 시구절이 흘러나왔다.

어린이들의 흐름

바다의 물결같고

이 바다 물결 위에

즐겁게 떠있는

배와도 같으신 분

이날 다까기 다께오는 김일성주석께 말씀드렸다.

저는 지금 대단히 흥분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세계의 많은 나라 국가지도자들가운데 어린이들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는 지도자는 오직 김일성 각하 한 분이라고 생각하기때문입니다.”

<영도의 예술가 김일성>

다까기 다께오가 김일성 주석을 또다시 만난 것은 19721월 어느 날이었다.

김일성 주석은 그에게 조선의 형편과 발전 방향, 조국통일 문제와 조일 사이의 문제 등에 대하여 알기 쉽게 이야기해주었다.

다까기 다께오는 주석께 자기는 본사로부터 일본 인민들이 널리 읽을 수 있게 각하의 전기를 집필할데 대한 과업을 받았다고 말하였다.

그러자 주석은 난처한 기색을 지으며 정 쓰려면 자신에 대해서는 적게 쓰고 인민들에 대하여 많이 써달라고 부탁하였다.

다까기 다께오는 고심어린 탐구와 노력으로 조선방문기 <영도의 예술가 김일성>을 집필하였다. 방문기는 김일성 주석의 탄생 60돌을 맞으며 1972415일부터 61일까지 수십 회에 걸쳐 <요미우리신붕>에 연재되었다.

조선을 적대시하는 일본의 당국자들과 우익세력은 정의와 진리를 지향하는 그의 붓대를 꺾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이 과정에 그는 집까지 저당잡히고 아내마저 잃게 되었다.

하지만 그 어떤 압력과 위협 공갈도 절세의 위인을 흠모하며 따르려는 그의 신념과 의지를 꺾을 수 없었다.

김일성 주석은 1973년 봄 일본을 방문하는 조선기자동맹 대표단이 다까기 다께오를 만나 자신의 인사와 함께 선물도 전달하고 그의 부인이 세상을 떠난데 대해 조의를 전하도록 하였다.

다까기 다께오는 주석의 크나큰 은정과 고결한 의리에 조금이나마 보답할 일념으로 일조문화교류협회를 결성하고 조일 두 나라 인민들 사이의 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평양에서 생을 마치고 싶다.”

19755월 다까기 다께오는 또다시 조선을 방문하였다.

김일성 주석은 평양에 도착한 그를 곧 만나주었다.

유럽과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방문을 앞두고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던 주석은 나는 오늘 하루 동안을 선생을 위하여 보내기로 하였다고, 몇해 전에 선생이 우리 나라에 왔을 때 오랜 기간에 걸쳐 정치회담만 하였는데 오늘은 자연스럽게 담화를 나누고 점심식사도 함께 하며 영화도 보기로 하였다고, 오늘은 당신이 일조문화교류협회 이사장이고 나는 공화국의 주석이라는 직분을 떠나 옛 친구로서 담화하자고 말하였다.

다까기 다께오는 김일성 주석이야말로 인류가 갈망해온 인간사랑의 화신이며 만민의 자애로운 어버이라는 것을 다시금 심장깊이 새기게 되었다.

주석은 그가 조선혁명의 성지인 백두산지구를 답사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고 70고령의 그의 건강을 염려하여 특별비행기를 띄우도록 하고 유능한 의사까지 보내주었다.

다까기 다께오는 백두산의 넓은 지대를 편답하고 도서 《백두산에 타오르다》의 제1부와 제2부를 단시일에 집필하였다.

주석은 그가 집필한 도서를 친히 보아주고 그 책을 조선에서도 출판하도록 조치를 취해주었다.

다까기 다께오는 그후 도서의 제3부 《만주유격전기》를 집필하던 중 쓰러졌다.

그는 제자들에게 원고의 마감을 부탁하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조선민족은 김일성 주석을 중심으로 반드시 통일을 이룩하고야 말 것이다.

이것이 역사가 나가는 방향이다. 일본사람들은 이것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나는 평양에서 생을 마치고 싶다.”

19816월 그가 사망하였다는 보고를 받고 주석은 못내 가슴아파하면서 자신의 명의로 유가족들에게 조전을 보내주었다.

후에 조선에서는 그를 원형으로 하는 예술영화가 창작되었다.

세월은 많이 흘렀어도 김일성 주석과 일본의 한 언론인과의 연고관계는 사랑과 의리의 감동깊은 전설로 길이 전해지고 있다.

President Kim Il Sung and A Japanese

President Kim Il Sung (1912-1994)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made friends with many foreign figures in his lifetime. Among them was a prominent journalist of Japan, a sworn enemy country for Korea.

“Father!”

It was on the evening of the 31st of December, 1971, when Takeo Takaki, an advisor of the Editorial Committee of Yomiuri Shimbun, on a visit to Pyongyang, saw Kim Il Sung for the first time.

He went with Kim Il Sung to the Pyongyang Students and Children’s Palace to enjoy the schoolchildren’s New Year performance. When Kim Il Sung arrived at the palace, the children rushed to his embrace, raising cheers and shouting “Father!” Seeing this, Takaki could not but be surprised. Not only the children but their teachers were shouting, “Fatherly Marshal!”

Oh, the leader loves his people warmly and the people support him loyally. This relationship of most ardent and sincere love and trustisn’t this a beautiful picture of the single-hearted unity unique to socialist Korea?

A poem suddenly struck him.

The stream of children

Looks like a wave on the sea

The man is a boat

On this wave

That day, Takeo Takaki said to Kim Il Sung: “Now I am so excited. Because I think that there would be no one among heads of state in the world that greets the New Year with the children like you.”

“Kim Il Sung: An Artist of Leadership”

Takaki met Kim Il Sung for the second time on one January day of 1972.

Kim Il Sung talked to him in easy terms on a series of important issues like the situation and development orientation of the DPRK, national reunification and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Japan.

The Japanese visitor told him that his newspaper office had given him an assignment to write a biography of President Kim Il Sung in a way that the broad sections of the Japanese people could read it.

Wearing a worried look, Kim Il Sung asked him, if he really wanted, to write about him less and about his people more.

By making strenuous efforts, he wrote a DPRK travellogue Kim Il Sung: An Artist of Leadership. Celeb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im Il Sung, the Japanese newspaper Yomiuri Shimbun carried the book in dozens of instalments from the 15th of April to the 1st of June, 1972. The Japanese authorities and right-wing forces, who were hostile to the DPRK, resorted to every conceivable means to force him to give up writing for justice and truth. In this course, he had to place a mortgage on his house and lost his wife. However, no pressure, threat and blackmail could break his faith and will to respect and follow the peerlessly great man.

In spring 1973, a delegation of the Journalists Union of Korea visited Japan and during their stay they met Takaki. They conveyed Kim Il Sung’s regards and presents to Takaki and offered his condolence on the death of his wife.

To live up to the DPRK leader’s warm affection and noble obligation, Takaki formed the Japan-DPRK Cultural Exchange Association, and made positive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friendship between the peoples of the two countries.

“I Want to Close My Eyes in Pyongyang.”

In May 1975 Takaki visited the DPRK for the third time.

Kim Il Sung met him soon in Pyongyang. At that time Kim Il Sung was very busy in the lead-up to his visit to countries in Europe and Africa. He said to the Japanese guest, “I will spend this day with you; when you came to my country a few years ago, we had a lengthy talk only on political issues; but today I am going to have a talk, have lunch, and see a film together with you in a free atmosphere; today, let’s depart from formality, you, director-general of the Japan-DPRK Cultural Exchange Association, and me, president of a country, and talk to each other as old friends.”

Takaki keenly realized once again that Kim Il Sung was an incarnation of human affection whom mankind had longed for and a benevolent father of all the people.

Learning that he wanted to make a tour of the Mt Paektu area, a sacred place of the Korean revolution, Kim Il Sung assigned a special plane and a doctor for the health of the guest at the advanced age of seventy.

After travelling the wide area of Mt Paektu, he wrote two volumes of the book Flames on Mt Paektu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reading the book, Kim Il Sung had it published in his country as well.

While writing the third volume Biography of Guerrillas in Manchuria, Takaki fell ill. Breathing his last, he asked his disciples to give finishing touches to his manuscript, and said, “The Korean nation will achieve their reunification without fail with President Kim Il Sung as their centre. This is the current of history. The Japanese people must not interfere with it. I want to close my eyes in Pyongyang.”

In June 1981, on receiving the news of his death, Kim Il Sung grieved over it and sent to the bereaved family a message of condolence in his own name.

Later, a feature film with Takaki as a prototype was produced in the DPRK.

Many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but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Kim Il Sung and the Japanese journalist is still told to this day as a legendary tale of warm affection and noble obligati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